본문 바로가기

HRM/인사관리

복잡한 연차 완벽 관리(실무편)

이론편에는 관련 법과 설명을 작성하였는데요. 그러면 실제 사례를 통해 연차 발생 일수를 알아보겠습니다.

 

CASE ) 입사일 : 2020년 7월 3일 입사

1. 입사 첫해 (1년 미만 연차 발생)

   입사일 기준 매월 1개월 만근 할 때 마다 1개의 연차가 발생하여, 20년 7월 ~ 12월까지 총 5개의 연차가 발생 합니다.

 

2. 입사 두번째 해(회계연도 기준 연차 + 1년 미만 연차 발생)

   20년 한 해를 만근을 하면 15개의 연차가 발생하지만, 중도 입사를 하였기 때문에 당해년도 근무일 수에 비례하여

   산출합니다. 7월 3일 입사자의 경우 12개월 중 6개월만 근무 하였기 때문에 15개 X 6/12 = 7.5개의 회계연도기준

   연차가 발생합니다. 보다 정확하게 계산을 하려면 7/3~12/31일수/365일로 계산해도 되지만, 0.5 이하로 계산 되는

   경우 실제로는 사용할 수 없고, 근로자에게 불리하게 할 수 없기 때문에, 6/12로 계산하였습니다. 

   또한, 1개월 만근 할 때 마다 1개의 연차가 21년 6월 까지 총 6개가 발생 합니다.

 

   결론적으로 20년 7월 3일 입사한 직원은 21년 12월 31일까지 5개+6개+7.5개 = 18.5개의 연차가 발생 합니다.

 

3. 21년 중 퇴사 하는 경우

   총 18.5개의 연차가 발생 하지만, 만약 21년 중 퇴사하는 경우 퇴사시점에 따라 발생연차는 달라집니다.

   1) 21년 7월 3일 이전 퇴사의 경우 

      1년 미만 근무를 한 경우 회계연도 기준으로 발생한 7.5개는 없어지고, 월 1개의 연차만 발생하며, 근무기간 동안

      발생한 총 월 1개의 연차의 수에서 사용한 연차수를 제외하고, 연차수당으로 정산을 합니다. 

      * 관리 Point : 이미 회계연도 기준으로 1월 1일에 부여한 연차가 있기 때문에, 퇴사시점에서 부여한 연차를 제외 할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경우 노무분쟁의 소지가 될 수 있습니다. 그러므로 취업규칙에 '1년 미만 퇴사 시 회계연도 연차 관련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재산정 규정, 재정산 후 삭감' 같은 문구를 삽입하거나, 입사 OJT 진행 시 관련 내용을 설명하고, OJT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문서에도 포함 시키고, 서명 받음으로서 노무이슈가 발생하지 않도록 대비 하는 것이 좋습니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(항상 인사 관리자는 노무리스크 대비를 위한 프로세스를 염두 해 두어야 합니다.)

 

   2) 21년 7월 3일 이후 퇴사의 경우

      1년을 만근 하였기 때문에 1년 미만 월 1개의 연차가 11개 발생하고, 입사년도 기준으로 다시 계산하면 15개의

      연차가 발생하므로 회계연도 기준 보다 입사연도 기준이 더 유리하기 때문에 재직기간동안 총 26개의 연차가

      발생합니다. 26개 중 사용연차를 제외하고, 연차수당으로 정산을 합니다.

 

 

      * 관리 Point : 퇴사일에 따라 회계연도 기준과 입사연도 기준의 유리함이 달라 지고, 연차촉진제, 연차보상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따라 사용연차 외에 고려되야 하는 사항들이 있으므로, 담당자는 매년 발생연차, 잔여연차,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촉진연차, 보상연차를 관리를 해야하고, 퇴사시점에서 재직기간 동안 총 연차를 정산 및 해당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내용을 메일을 통해 정리하여 퇴사자에게 안내하여 투명성과 정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.

 

    Q) 3년 11개월을 근무한 경우 80% 이상 근무하였는데, 11개월에 대한 월 1개의 연차는 발생하지 않는지?

    A) 근로기준법에 '1년간 80%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'고 되어 있고, '1년간 80%

        출근'이라 함은 80% 이상 출근한 1년간의 근무를 마침으로서 확정되는 것으로, 출근율 80%가 되어도, 만 1년을 

        근무하지 않는 기간은 연차가 발생하지 않으며, 월 1개의 연차는 입사 첫해만 발생 합니다.

 

   이상으로 연차 관리 실무를 알아 보았습니다. 많은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.